Notice
Hot Posts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반응형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투포인터
- ai/bigdata
- OS
- level2
- 코딩테스트
- 정렬
- 백준
- 마곡속눈썹연장
- 마곡속눈썹펌
- 카카오
- 딥러닝
- 1차면접
- 운영체제
- 포스코
- 알고리즘
- BOJ
- 프로그래머스
- Java
- leetcode
- 등촌동속눈썹연장
- 시뮬레이션
- 리트코드
- 삼성 SW역량테스트 기출
- 다시보기
- 등촌동속눈썹펌
- 삼성
- 수학
- 직무면접
- 추석트래픽
- 삼성SW역량테스트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7장 (1)
기록하는 습관을 들이자

※ 해당 포스팅은 이화여대 반효경 교수님 저서 [운영체제와 정보기술의 원리] 책 내용을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우리가 사는 집마다 고유의 주소가 있듯이 메모리 역시 주소를 통해 접근하는 저장장치이다. 우리가 사용하는 컴퓨터 시스템은 흔히 32비트 혹은 64비트 주소 체계를 사용한다. -> 32비트 주소 체계를 사용할 경우 2^32가지 서로 다른 메모리 위치를 구분할 수 있으며, 컴퓨터에서는 byte 단위로 메모리 주소를 부여하기 때문에 2^32 바이트만큼의 메모리 공간에 서로 다른 주소를 할당할 수 있다! 1. 주소 바인딩 앞 장에서 살펴보았듯이 프로그램이 실행을 위해 메모리에 적재되면 그 프로세스를 위한 독자적인 주소 공간이 생성된다. 이 주소를 논리적 주소(logical address) 혹은 가상 ..
운영체제
2020. 9. 4. 1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