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ai/bigdata
- 정렬
- 백준
- level2
- 알고리즘
- 운영체제
- 카카오
- 추석트래픽
- 삼성
- leetcode
- 등촌동속눈썹연장
- 등촌동속눈썹펌
- 투포인터
- 코딩테스트
- 삼성 SW역량테스트 기출
- BOJ
- 직무면접
- 삼성SW역량테스트
- 리트코드
- 시뮬레이션
- 딥러닝
- OS
- 수학
- 프로그래머스
- 1차면접
- 다시보기
- 마곡속눈썹연장
- 마곡속눈썹펌
- Java
- 포스코
- Today
- Total
목록네트워크 (2)
기록하는 습관을 들이자
※ 해당 글은 Tsutomu Tone의 저서 [성공과 실패를 결정하는 1%의 네트워크 원리] 책 내용을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제가 학부 때 공부했던 네트워크 관련 내용을 다시 복습 겸 심화 학습을 하고 싶어 책을 구매했는데요 해당 책은 개발자들 그리고 IT 분야 취업을 준비하시는 분들 사이에서 이미 유명한 책입니다. 관련 내용을 챕터 별로 정리하며 공부한 내용을 포스팅하고자 합니다. 개발자 취업을 위해 면접을 준비해본 분들은 네트워크 관련해서 아래 질문을 수 없이 많이 보셨을겁니다. "브라우저에 naver.com을 입력했을 때 일어나는 모든 일련의 과정을 설명해보아라." 이 책 역시 해당 과정을 자세히 풀어쓴 책이라고 보시면 되는데요 총 6장에 나누어서 깊이 있게 다루는데, 가장 중요한 건 거시적 관..
* 해당 내용은 CS(Computer Science) 스터디를 진행하며 공부한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 HTTP HTTP는 Hypertext Transfer Protocol의 약자를 의미합니다. 인터넷에서 사용하는 웹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 규약입니다. 인터넷에서 하이퍼텍스트를 교환하기 위해 사용되는 통신규약이며 포트번호는 80번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HTTP 서버는 80번 포트에서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대기하고 있으며, 클라이언트는 TCP 80번 포트를 사용해서 연결을 하게 됩니다. HTTP의 문제점 HTTP는 평문 통신이기 때문에 도청이 가능합니다. 완전성을 증명할 수 없기 때문에 변조가 가능합니다. TCP/IP는 도청 가능한 네트워크이다. TCP/IP 구조의 통..